본문 바로가기
주거 관련 정보

서울 원룸 월세·전세 시세 동향: 2025년 5월 평균 가격과 주요 지역 비교 분석

by RabL 2025. 6. 26.
반응형

서울의 원룸 월세와 전세 보증금이 지난달 크게 올랐습니다. 특히 원룸을 찾는 분들이라면 서울 평균 시세는 물론 주요 지역별 가격 차이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5월 기준 서울 원룸 시세를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월세와 전세 보증금 상승 원인과 주요 지역 시세를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서울 원룸 월세, 올해 최대 상승폭 기록

서울에서 전용면적 33㎡ 이하의 연립·다세대 원룸을 찾는 세입자라면 월세 상승폭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5년 5월 기준 보증금 1,000만 원 조건의 평균 월세는 72만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4월에 비해 4만 원, 즉 6.0%가 상승한 수치로, 올해 들어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다방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25개 자치구 중 월세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용산구로, 평균 월세가 102만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서울 평균 월세의 141% 수준입니다. 강남구는 서울 평균의 127%에 해당하는 월세를 보였으며, 서초구와 성동구는 각각 112%로 나타났습니다. 그 뒤를 이어 동작구 110%, 중구 107%, 강서구와 중랑구 각각 106%, 금천구와 영등포구 105%, 강동구 102% 순으로 서울 평균을 웃도는 월세를 기록했습니다.

 

 

다방 공식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다방 공식 블로그입니다:) 다방어플로 똑똑하게 방 구하는 법, 필수 자취꿀팁과 이벤트까지! 다방 공식블로그에서 모두 만나보세요!

blog.naver.com

 


서울 원룸 전세 보증금도 상승세 지속

월세뿐 아니라 전세 보증금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서울 원룸의 평균 전세 보증금은 2억 1,841만 원으로, 전월 대비 587만 원(2.8%) 올랐습니다. 특히 서초구는 평균 전세 보증금이 2억 7,258만 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서울 평균 대비 5417만 원이 높은 금액이며, 서울 평균의 125% 수준입니다.

이외에도 강남구는 서울 평균 전세 보증금의 119%를 기록했고, 광진구와 용산구가 각각 109%, 중구 104%, 성동구와 송파구가 각각 102%, 마포구가 101%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처럼 8개 지역은 서울 평균보다 높은 전세 보증금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 원룸 시세 상승의 주요 배경

서울 원룸 시세 상승의 이유로는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공급 부족, 그리고 전·월세 전환율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특히 1인 가구와 신혼부부 등 소형 주택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면서 월세와 전세 가격이 동반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이번 조사에서 분석한 평균 월세는 보증금 1억 원 미만 거래를 기준으로, 평균 전세 보증금은 서울의 모든 전세 거래를 집계하여 산출한 결과입니다.

서울 원룸을 찾는 세입자와 투자자라면, 지역별 시세와 전·월세 전환율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월세가 서울 평균보다 높은 지역과 전세 보증금이 높은 지역은 임대료 부담을 면밀히 따져봐야 합니다.


서울 원룸 시세 요약

아래 표는 서울 원룸 주요 지역의 월세와 전세 보증금 수준을 서울 평균과 비교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반응형
자치구 평균 월세(만원) 서울 평균 대비 (%) 평균 전세 보증금(만원) 서울 평균 대비 (%)
용산구 102 141 23818 109
강남구 91 127 26092 119
서초구 81 112 27258 125
성동구 81 112 22374 102
동작구 79 110 - -
중구 77 107 22764 104
강서구 76 106 - -
중랑구 76 106 - -
금천구 76 105 - -
영등포구 76 105 - -
강동구 73 102 - -
서울 전체 평균 72 100 21841 100
 

※ 전세 보증금이 표기되지 않은 지역은 평균 전세 보증금이 서울 평균보다 낮거나 조사 통계에서 제외된 지역입니다.


서울 원룸 시세는 월세와 전세 보증금 모두 올해 들어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용산구, 강남구, 서초구 등 주요 지역의 임대료가 서울 평균을 크게 웃돌면서 세입자들의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소형 주택 수요는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시세 변화와 지역별 임대료 격차는 더욱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서울 원룸을 임차하거나 투자하려는 분들은 최신 시세 동향과 전·월세 전환율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권장합니다.

반응형